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메인과 호스팅의 개념 정리

by behinds 2025. 4. 18.

도메인과 호스팅이란?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메인호스팅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둘은 마치 '주소'와 '건물'의 관계로 비유할 수 있는데요,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도메인이란?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주소(URL)입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www.예시.com 같은 주소가 바로 도메인입니다. 실제로는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예: 123.45.67.89)를 사용하지만, 사람이 기억하기 쉽도록 문자 형태의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google.com은 구글의 도메인입니다. 이 주소를 통해 우리는 구글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의 구조

  • www: 서브 도메인 (생략 가능)
  • 예시: 사이트 이름 (개인이 설정)
  • .com, .net, .kr: 도메인 확장자 (TLD)

호스팅이란?

호스팅은 웹사이트 파일(코드, 이미지 등)을 저장하고 인터넷에 공개하는 공간입니다.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HTML, CSS,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등이 저장되는 서버 공간을 임대하는 것을 '웹호스팅'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호스팅은 웹사이트의 ‘집’ 또는 ‘건물’과 같습니다. 사용자는 도메인을 통해 이 집에 방문하는 것이죠.

호스팅의 종류

  • 공유 호스팅: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서버를 나눠 사용하는 방식 (저렴, 입문용)
  • VPS 호스팅: 가상 서버를 사용하는 방식 (유연성과 성능 중간)
  • 전용 서버 호스팅: 한 사람이 서버 전체를 사용하는 방식 (고성능, 고비용)
  • 클라우드 호스팅: 서버를 유동적으로 사용하는 최신 방식 (확장성 뛰어남)

도메인과 호스팅의 관계

도메인은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이름이고, 호스팅은 그 웹사이트의 실제 콘텐츠가 저장된 공간입니다. 둘은 함께 연결되어야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도메인을 등록한 후, 호스팅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DNS) 정보를 설정해야 도메인과 호스팅이 연결됩니다.

비유로 이해하기

  • 도메인: 주소 (예: 서울시 강남구 123)
  • 호스팅: 그 주소에 실제로 존재하는 건물
  • 웹사이트: 그 건물 안에 들어 있는 콘텐츠 (가구, 사람 등)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한 기본 구성

  1. 1. 도메인 구매: 가비아, 카페24, 고대디 등에서 구입 가능
  2. 2. 호스팅 신청: 웹 호스팅 서비스 업체 선택
  3. 3. 도메인 연결: 네임서버 설정을 통해 도메인과 호스팅 연결
  4. 4. 파일 업로드: HTML, CSS, 이미지 등 업로드

이 과정을 거치면 나만의 웹사이트를 전 세계에 공개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팁

  • 도메인과 호스팅은 처음에는 같은 회사에서 함께 구매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도메인은 1년에 한 번 갱신하며, 호스팅은 월 단위 혹은 연 단위로 결제합니다.
  • 사이트 규모가 작다면 공유 호스팅으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최종 수정일: 2025년 4월 5일